2018년 6월 30일 토요일

이산의책01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근대 문화 비판
강상중 지음 / 이경덕, 임성모 옮김
1997년 7월 24일 발행 / 288쪽 / 값 12,000원

 

베버, 푸코, 사이드, 월러스틴을 종횡으로 구사하며 오리엔탈리즘과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의 환부에 총체적인 근대 문화 비판의 메스를 가한 '경계 해체'의 정치사회학 연구서.


일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재일 한국인 2세(도쿄대 교수)의 저서 
저자 강상중 교수는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재일 한국인 2세이다. 이 책이 단순히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을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일본의 역사와 접목시키고 있는 것은 저자의 존재규정인 '재일'이라는 자각에서 비롯되었다. 저자는 오오츠카 히사오의 생산력론으로 대표되는 일본 시민사회파의 '근대주의'적 논리가 안은 문제점에 촉발되어 베버와 푸코를 거쳐 사이드와 대면하게 되는 역정을 밟아왔고 여기에 폴라니나 월러스틴, 발리바르의 시각을 접목시켜 근대 문화를 비판한다. 격변하는 현실 속에서 난마처럼 뒤얽힌 사상의 흐름을 풀어보이는 저자의 종합력은 우리들의 시야를 한층 넓고 밝게 해준다. 또한 이 책은 복잡한 현대 사상의 대해를 헤쳐 나가는 데 훌륭한 방향타 역할을 해 줄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 책의 저자 강상중의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재 일본 사회과학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회과학자이자 비판적 지식인이다. 저자가 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쿄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의 학자적인 능력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는 일본에서 초판 6개월 만에 4쇄를 발간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서구중심주의적 근대에 대한 근원적 비판이자 오리엔탈리즘의 담론에 대한 총제적 비판 
저자의 궁극적인 화두는 '근대화론'이다. 그 출발점은 물론 재일 한국인 2세라는 자기 규정에서 출발한다. 저자의 문제의식은 우리와 지리적인 차이를 갖고 있지만 그의 조국 한국의 현실에서 결코 동떨어져 있진 않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민지 시대에 대한 성격을 두고 일방적인 수탈론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의 연구는 대단히 시사하는 바가 크며 어떤 점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간과해왔던 핵심에 더 가깝게 접근하고 있다. 
저자는 '근대화론'의 기원에서부터 근대성의 담론을 추적한다. 그 결과 저자는 베버에서 정점을 이루는 서구의 이성과 합리주의에 바탕을 둔 근대화=서구화란 결코 보편적인 가치가 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런 결론에 이르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는 논리는 푸코로 대표되는 포스트구조주의와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비판이다. 푸코의 권력과 지식의 담론을 원용하여 서구 정신의 이성 존중과 합리성을 해부한 다음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비판을 받아들여 서양/동양, 남성/여성, 식민자/피식민자, 다수집단/소수집단 등의 이항대립적인 세계사적 현상들을 분석한다.
현재 우리나라 사회과학계의 포스트구조주의나 오리엔탈리즘의 수용은 이 정도에서 멈추는 경향이다. 그래서 많은 일반사람들에게 포스트라는 말이 붙은 이론들이 우리의 현실과는 너무 먼 곳에 있는 공허한 울림 같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오리엔탈리즘의 일본적 재생산과 보수화로 치닫고 있는 일본 
그러나 저자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자신의 재일이라는 특수한 위치를 자각했기 때문이다. 그는 과감하게 일본 제국주의의 정신적 기초를 이루는 식민정책학자(우리식으로 말하면 어용학자라거도 할 수 있다)들의 정신세계가 일본 제국주의와 천황제의 발현과 어떤 관계를 맺는가를 정교한 논리와 예리한 비판력으로 벌거벗긴다. 이것이 바로 저자가 새롭게 제시하는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이다. 
이 주제를 다룬 3장과 4장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집요함과 역사적 망상에 전율과 같은 충격을 느끼게 된다. 왜냐하면 이런 일본 제국주의의 논리가 45년의 패전으로 일단락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줄곧 대다수 일본의 지식인과 국민들의 의식을 지배해 왔고, 지금도 국내외적으로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워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홍콩 반환으로 예견되는 중국의 급부상과 한반도 통일이 가시화되면서 일본 사회는 급속히 보수화되어 가고 있다. 저자는 동아시아 제국의 대응이 종래의 일본경계론이나 반일 내셔널리즘의 차원에 머물 경우 오히려 이들의 논리를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할지 모른다는 데 주의를 촉구한다. 또한 저자의 일본 문화론 비판 가운데는 한국문화론적인 문화전략에 대한 비판도 포함되어 있다. "일본문화론이 타자로서 미국(구미)을 의식하면서 일본사회특수론으로 나아가고 있듯이 한국문화론 역시 타자로서 일본을 의식하며 한국사회특수론으로 나아갈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보며, 일미관계와 한일관계의 구조가 문화본질주의적인 '반발과 모방의 구조'로서 유사성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이외에도 저자는 근대화론이나 오리엔탈리즘을 교묘히 탈색시키고 변형시킨 주장, 예를 들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에까지 비판적 사고를 멈추지 않는다. 반면 푸코, 사이드와 함께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에 대해서는 아직 이 이론이 형성과정에 있다는 전제 아래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향후 세계체제론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한다. 끝으로 '보론: 내적 국경과 래디컬 데모크라시―'재일'의 시점에서'는 원서에는 없으나 저자가 오리엔탈리즘과 만나게 된 내적 계기였던 '재일'이라는 문제틀에 대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함께 실었다.

저자 강상중 

1950년 일본 구마모토(熊本) 현에서 태어났다. 1979년 와세다 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연구,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그 뒤 1979∼1981년 옛 서독 뉘른베르크 대학에서 유학했다. 전공은 정치학과 정치사상사. 현재 도쿄 대학 사회과학연구소 조교수로 있다.
저서로 <막스 베버와 근대>(1986), <국가, 민족, 인권>, <아시아가 보는 일본국 헌법>(공저, 1994), <두 개의 전후와 일본>(1995) 등이 있다.

북리뷰

 제목게재지글쓴이날짜
01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그 허상을 벗긴다한겨레신문이상수
1997.07.29
02 회색지대에 선 어느 지성의 사유출판저널이수훈
1997.8월호
03 일본의 對아시아 우월감 '해부' 문화일보최영창
1997.08.04
04 재일교포교수의 일 식민지-근대화론 비판조선일보이준호
1997.08.08
05 오리엔탈리즘의 담론 총체적 비판서울신문김종면
1997.08.12
06 '아시아=식민지' 일본 우월주의 비판문화일보김호기
1997.08.13
07 일본적 오리엔탈리즘 실체 해부매일경제허연
1997.08.16
08 일 식민주의 모순 해부 제국주의적 속성 고발중앙일보윤상인
1997.08.17
09 재일 지식인의 보편적 사상 찾기뉴스메이커박홍규
1997.08.28
10 일본의 근대화론 해부이완범
1997.9월호
11 일본이라는 컨텍스트에서 풀어본 식민지 문제교수신문최익현
1997.09.01
12 '타자화'된 재일동포가 분석하는 일본 오리엔탈리즘대학신문권숙인
1997.09.22
13 나를 감동시킨 이 한권의 책 월간중앙김근태
2000.11월호
14 '과학'이라는 탈 쓴 '식민정책학'동아일보조헌주
1997.11.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